부품
아두이노(arduino)
도트매트릭스(DotMatrix 8x8 2색)
74HC595 x2
74HC138
핀은 24핀으로 위에 12, 아래 12개 입니다.
핀소켓에 납땜으로 배선을 연결했습니다.
전선이 부드러운줄 알았는데 연결하고 나니 엄청 뻣뻣하네요 ㅜㅜ
1번핀 - [LED1-], 2번핀 - [LED1적+], 3번핀 - [LED1녹+], 4번핀 - [LED2-], 2번핀 - [LED2적+], 3번핀 - [LED2녹+]......
위 사진상으로 보면 모델번호를 위로 놓고 볼때 우상터 1~12, 우하 13~24번 입니다.
이 보드의 red에 연결된 흰색 배선 위쪽부터 도트매트릭스의 2,5,8,11,14,17,20,23,
green에 연결된 배선 위쪽부터 도트매트릭스의 3,6,9,12,15 18,21,24 번에 연결합니다.
74HC138 디코더 입니다.
Y0 ~ Y7 은 도트매트릭스의 1,4,7,10,13,16,19,22에 각각 연결합니다.
4, 5번 핀은 GND, 6번핀은 VCC에 연결합니다.
A0~A2는 아두이노의 digital 5~7에 연결합니다,
소스
//Pin connected to ST_CP of 74HC595
int latchPin = 8;
//Pin connected to SH_CP of 74HC595
int clockPin = 12;
////Pin connected to DS of 74HC595
int dataPin = 11;
//holders for infromation you're going to pass to shifting function
byte data;
byte data2;
byte dataArray[10];
int val=0;
void setup() {
//set pins to output because they are addressed in the main loop
pinMode(latchPin, OUTPUT);
pinMode(clockPin, OUTPUT);
pinMode(dataPin, OUTPUT);
// 74HC138N
pinMode(5, OUTPUT);
pinMode(6, OUTPUT);
pinMode(7, OUTPUT);
Serial.begin(9600);
dataArray[0] = 0x24; //00100100
dataArray[1] = 0x5a; //01011010
dataArray[2] = 0x81; //10000001
dataArray[3] = 0x81; //10000001
dataArray[4] = 0x81; //10000001
dataArray[5] = 0x42; //01000010
dataArray[6] = 0x24; //00100100
dataArray[7] = 0x18; //00011000
}
void loop() {
for (int j = 0; j < 8; j++) {
//load the light sequence you want from array
data = dataArray[j];
//ground latchPin and hold low for as long as you are transmitting
digitalWrite(latchPin, 0);
shiftOut(dataPin, clockPin, LSBFIRST, 0);
shiftOut(dataPin, clockPin, LSBFIRST, data);
digitalWrite(7, j>>2 & 0x1);
digitalWrite(6, j>>1 & 0x1);
digitalWrite(5, j & 0x1);
digitalWrite(latchPin, 1);
delay(1);
}
}
깔끔하게 하려면 만능기판으로 옮겨야할듯싶네요. 다시만들어야겠네....ㅜㅜ
회로는 2색 모두 지원합니다.
저항 연결하니 빛이 어두워서 저항도 연결하지 않았습니다.
'Arduino/AVR > 2. Arduino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ocessing을 이용한 아두이노 오실로스코프(oscilloscope) (1) | 2009.06.18 |
---|---|
아두이노를 인터넷에 연결해보자 - arduino ethernet shield 호환모듈 WIZ811MJ (1) | 2009.06.08 |
아두이노(arduino)를 이용한 도트매트릭스(dotmatrix 8x8 2색) (15) | 2009.06.03 |
아두이노(arduino)를 이용한 자전거 속도계 (9) | 2009.05.10 |
arduino 전압계 (0) | 2009.05.04 |
arduino 에서 LCD 구동하기 2 (4) | 2009.04.23 |
브레드보드있는 회로 그림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그리셨나요>
답글
calian님// arduino 사이트에 있는 이미지를 가져온 겁니다.
브레드 보드 회로를 그릴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가 아는것은
Fritzing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시뮬은 안되고 그림만 그릴 수 있습니다.참고하세요. ^^
http://fritzing.org
답변감사합니다^^;;
답글
브레드보드에 있는 검정블럭같은게 무엇인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??
그리고 만들면서 쓰신 부품들 이름을 알고 싶어요..!
처음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배울게 많네요..ㅠㅠ;;ㅋ
답글
사용한 부품 목록은 맨 위에 있는 목록 그대로입니다.
브레드 보드 사진으로 왼쪽부터 보면
맨 왼쪽의 것은 무시하시고요 138, 595, 595, 아두이노, 도트매트릭스
다만 아두이노가 아두이노 호환 미니 인데...그냥 아두이노 쓰셔도 됩니다.
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모르겠는데요 led매트릭스니깐 8*8 이면 64개의 led와 2색이니깐 총 128개를 제어할수 있는건가요?
답글
네 맞습니다. 한번에 한줄씩 제어 하니 순차적으로 16개씩 8번 제어하게 됩니다.
혹시 회로도 왼쪽 빵판에 잇는 초록색 빨간색 똥그란게 뭔지 알수 있을까요;
답글
LED입니다. ^^
잘 봤습니다. 그런데 몇가지 궁금한게 있는데요. 도트매트릭스 사진보면 많은 배선들이 연결돼있는데 위 12부분을 연결한걸 어디다가 연결을 해야하죠 밑12부분도 궁금하구요.. 그리고 브레드보드 들어가 있는 사진보면 맨 왼쪽거 제외를 하고 왼쪽부터 138 595 595 인가요? 그리고 595 밑에 얇은 검정 블락두개가 있는데 이것들은 뭔가요? 또한 그 사진에 보면 가운데 있는 브레드보드에 주황색깔 있죠.. 그건 pushbutton 인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빨간색과 초록색은 LED 라고 말씀하셨는데 어떤 LED인지.. 그리고 그 옆에 있는건 resistor 인가요? 무슨 resistor 인지 궁금해요
그리고 제가 마지막으로 processing 에 관해서 잘 몰라서 그러는데 소스안에 processing이 사용돼있나요?
답글
와이어링은 본문 중간에 595와 아두이노 연결 그림이 있는부분에 있습니다. 설명을 좀더 자세히 추가했습니다. 이해가 되실지 모르겠네요 ^^; 거기서 말하는 숫자는 도트매트릭스의 핀번호입니다 (위쪽에 도트메트릭스의 회로도에 있습니다)
138도 바로 아래쪽에 설명이 있고요.
칩에 순서는 138 595 595 입니다. 사진에서 선이 자세히 안보이는 상테에서 순서는 별의미 없지만요 ^^;
주황색은 먼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
빨간색과 초록색은 도트매트릭스를 사용할꺼니까 직접 연결하면 되고요
저항은 보통 220옴 쓰는데 도트매트릭스에서는 불빛이 넘 약해서 달지 않았습니다.
죄송한데 만능기판에 만들어져있는건 없나요?ㅠㅠ
답글
없네요. 죄송 ^^;;
네이버 블로그에 정보수집용으로 퍼갑니다 ^^;; 안된다면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남겨 주세요 ㅠ
답글
따라하는 초보입니다.
하트는 만드는데 성공 했습니다..
감사합니다.
Green 색으로도 해보고 싶은데.. 어딜 수정하면 될까요..
그리고, 2가지 색깔을 섞어 주황색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..
^^
답글